⭕️⭕️⭕️[내가 아는 것이 정말로 아는 것인가?] 🌈🌈🌈

   ⭕️늘푸른이(답방💯부탁)⭕️    1,301 읽음
[내가 아는 것이 정말로 아는 것인가?]
당나라 때의 유명한 화백 대숭(戴嵩)은 전원 풍경과
특히 생동감 넘치는 소를 잘 그려서 이름을 떨쳤다.
또 한간(韓幹)은 말을 그리기로 이름난 화가였다.
이 두 명의 화가를 사람들은 한마대우(韓馬戴牛)라고 칭했다. 그들이 남긴 작품에는 삼우도(三牛圖)와 귀목도(歸牧圖)가 있었다. 그 그림들의 가치는 돈으로 따지기도 어려울 정도였다.
대숭이 그린 투우도(鬪牛圖) 한 폭이 전해져 내려오다 송나라 진종 때 재상인 마지절(馬知節)이 이 그림을 소장하게 되었다. 마지절은 그림에 남다른 일가견을 가지고 있었기에 고금의 그림을 수집하여 감상하는
것을 큰 즐거움으로 삼았다. 특히 그가 소장한 투우도(鬪牛圖)는 당나라의 유명한 명인이 남긴 작품인지라 그는 이 그림을 극진히 아꼈다.
혹여 그림에 벌레나 좀이 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단으로 덮개를 만들고 옥으로 족자 봉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햇빛과 바람이 좋은 날을 택해 자주 밖에 내다 말리며 수시로 일광욕을 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대청 앞에 그림을 걸어놓고 바람을 쐬어주고 있는데 소작료를 내려고 찾아온 한 농부가 먼 발치에서
그 그림을 보고는 피식 웃었다.
'글도 모르는 무식한 농부가 그림을 보고 웃다니..'
마지절은 화가 나서 농부를 불러 세웠다.
"너는 대체 무엇 때문에 웃었느냐?"
농부는 고개를 조아리며 대답했습니다.
"그림을 보고 웃었습니다."
"이 그림을 보고..? 이놈아! 이 그림은 당나라 때의 대가인 대숭의 그림이다. 그런데 감히 네까짓 게
그림에 대해서 무얼 안다고 함부로 비웃는 것이냐?"
마지절이 불같이 화를 내자 농부는 겁에 질려 부들부들 떨면서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저같은 무식한 농부가 어찌 그림에 대해 알겠습니까? 하오나 저는 소를 많이 키워보고 소가 저희들끼리 싸우는 장면도 많이 보았기에 소의 성질을 조금 알고 있습니다요. 소는 싸울 때 머리를 맞대고 힘을 뿔에 모으고 서로 공격하지요. 하지만 꼬리는 바싹 당겨 두 다리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