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로(蛙利鷺)] 🌈🌈🌈🌈

   ⭕️늘푸른이(답방💯부탁)⭕️    3,035 읽음
[와이로(蛙利鷺)]
고려시대 의종 임금이 하루는 단독으로 야행(夜行)을 나갔다가
깊은 산중에서 날이 저물었다.
요행(僥倖)히 민가(民家)를 하나 발견하고
하루를 묵고자 청을 했지만,
집주인(이규보 선생)이 조금 더 가면
주막(酒幕)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여,
임금은 할 수 없이 발길을 돌려야했다.
그런데 그 집(이규보)대문에 붙어있는
글이 임금을 궁금하게 했다.
"나는 있는데 개구리가 없는 게 인생의 한이다."
(唯我無蛙 人生之恨/유아무와 인생지한)
"도대체 개구리가 뭘까..?"
한 나라의 임금으로서
어느 만큼의 지식(智識)은 갖추었기에,
개구리가 뜻하는 걸 생각해 봤지만
도저히 감이 잡히지 않았다.
주막에 들려 국밥을 한 그릇 시켜 먹으면서,
주모에게 외딴 집(이규보 집)에 대해 물어보았다.
그는 과거(科擧)에 낙방(落榜)하고
마을에도 잘 안 나오며,
집안에서 책만 읽으면서 살아간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래서 궁금증이 발동(發動)한 임금은
다시 그 집으로 돌아가서 사정사정한 끝에
하룻밤을 묵어갈 수 있었다.
잠자리에 누웠지만 집 주인의 글 읽는 소리에
잠은 안 오고해서 면담(面談)을 신청(申請)했다.
그리고는 그렇게도 궁금하게 여겼던
"唯我無蛙 人生之恨/유아무와 인생지한"이란
글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옛날에 노래를 아주 잘하는 꾀꼬리와
목소리가 듣기 거북한 까마귀가 살고 있었는데,
하루는 꾀꼬리가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를 하는데
까마귀가 꾀꼬리한테 내기를 하자고 했다.
바로 "3일 후에 노래시합을 하자"는 거였다.
백로(白鷺)를 심판(審判)으로 하여 노래시합을 하자고 했다.
이 제안에 꾀꼬리는 한마디로 어이가 없었다.
노래를 잘 하기는 커녕,
목소리 자체가 듣기 거북한 까마귀가
자신에게 노래시합을 제의 하다니..
하지만 월등한 실력을 자신했기에
시합(試合)에 응(應)했다.
그리고 3일동안 목소리를 더 아름답게
가꾸고자 노력했다.
그런데,
반대로 노래시합을 제의한 까마귀는
노래 연습은 안하고 자루 하나를 가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