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말을 들어 주는 대화법

   답방탐험대    449 읽음





남의 말을 들어 주는 대화법




기분 좋게 대화하기 위해서는
말하고 듣는 것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한다.
˝코미디언을 죽이는 데는 하품 한 번이면 족하다˝는
말처럼 남의 이야기를 듣는 자세는
말하는 이에게 엄청난 영향력을 미친다.
대화를 즐겁게 하며
분위기를 살리면서 듣는 방법을 살펴보자.


마음을 열고 즐겁게 듣는다
: 상대가 이야기를 시작하면 갑자기 자세를 바로잡고
귀를 쫑긋 세우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정색하고 말 떨어지기만
기다리는 표정을 짓는다면
오히려 상대가 부담을 느껴
쉬운 이야기도 쉽게 할 수 없게 된다.
말하는 사람의 마음이 편하도록
이야기를 듣게 되어 즐겁다는 표정으로 상대를 바라보자.


맞장구를 쳐 준다
: 이야기를 들으면서
눈을 마주치지 않거나 표정을 드러내지 않는다면,
상대는 자신의 이야기를 정말 알아들었는지
의심스러워한다.
이때 ˝맞아요, 그 다음에는요?˝ 등
말을 더하게 하는 맞장구를 친다면
말하는 사람도 한결 흥이 난다.
그러나 ˝당연하죠, 잘 아는군요˝처럼
하대하는 느낌을 주어 대화를 막거나,
새로운 정보를 이야기하는 이에게
˝여태 몰랐어?˝라고 한다면
상대는 무안해 말이 막히게 된다.


잘못은 바로 지적하지 않는다
: 이야기의 핵심을 파악하며
그 속에서 잡아낸 키워드를 인용해
확인하며 듣는 적극적인 듣기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대가 잘못 말했을 때는
바로 지적하지 말고 천천히 되물어 확인함으로써
스스로 깨닫게 한다.
그러면 상대는 ˝내가 그렇게 말했나?˝ 하면서
자신의 잘못을 깨달을 것이다.


상대가 이야기하도록 질문한다
: 말수가 적은 사람에겐
예, 아니오로 답할 수 없는 질문을 한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요?˝가 아니라
˝아침에 일어나면 뭘 해요?˝라고 물어
자연스럽게 말문이 트이게 하는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하는 식의 질문은
대답의 범위를 넓힌다.
또한 도통 말이 없는 상대를 만날 때는
상대의 관심사와 관계된 화제거리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적절하게 끼어든다
: 대화중에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나
상대의 이야기가 길어질 때는
˝잠깐, 좋은 생각이 떠올랐어요˝라고 양해를 구한 뒤에
하고 싶은 이야기를 꺼낸다.
때때로 ˝이런 말씀이군요˝라며
방금 한 말을 확인하거나 애매한 부분을 질문하고,
나아가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다 보면
이야기가 새롭게 펼쳐질 수도 있다.





참고 : (성공을 부르는 말 실패를 부르는 말>, 베텔스만 펴냄)





지금 틱톡 라이트에 가입하고
나랑 함께 별 저금통을 채워 리워드 챙겨가자!

lite.tiktok.com/t/ZSBrVBCwy

클릭 부탁드려요~~